검색결과2건
스포츠일반

GS칼텍스, 인상공사에 3-1 역전승…흥국생명과 우승컵 놓고 격돌

흥국생명과 GS칼텍스가 2020년 코보컵 결승에서 맞붙는다. 흥국생명은 4일 충북 제천체육관에서 열린 2020 제천·MG새마을금고컵 프로배구대회 여자부 준결승에서 현대건설을 세트 스코어 3-0(25-22, 25-21, 30-28)으로 꺾었다. 김연경과 이다영의 합류로 막강 전력을 구축한 흥국생명은 예상대로 결승까지 올랐다. 조별리그 3경기에서 모두 셧아웃 승리를 거뒀고, 준결승에서도 무실 세트 행진을 이어갔다. 2006년 컵대회가 처음 열린 이후 남녀부 통틀어 한 세트도 내주지 않고 트로피를 들어 올린 팀은 아직 없다. 흥국생명이 컵대회에서 우승한 건 김연경이 뛰었던 2010년 한 번뿐이다. 10년 만의 우승 도전에 나선다. 김연경은 현대건설과의 준결승에서도 중요한 상황마다 해결사로 나서며 팀 내 최다인 20점(공격 성공률 51.28%)을 올렸다. 흥국생명이 결승에서 맞붙는 상대는 GS칼텍스다. GS칼텍스는 4일 KGC인삼공사에 3-1(21-25, 25-19, 25-14, 25-15) 역전승을 거뒀다. 지난 30일 맞대결에서 2-0으로 앞서다가 세트스코어 2-3으로 역전패를 당한 아쉬움을 씻어냈다. 1세트를 내준 GS칼텍스는 2~4세트를 비교적 손쉽게 따냈다. 메레타 러츠가 양 팀 최다인 25점을, 유서연과(18점)과 강소휘(16점)도 맹활약을 선보였다. 특히 서브에이스에서 상대를 9-0으로 압도했다. 양 팀의 결승전은 5일 오후 2시 같은 장소에서 열린다. 이형석 기자 2020.09.04 22:27
스포츠일반

'연경 받고, 재영 때리고' 흥국생명, 조직력 변수 '삭제'

빈틈이 보이지 않는다. '호화 군단 흥국생명 얘기다. 흥국생명은 2일 충북 제천체육관에서 열린 2020 제천·MG새마을금고컵 프로배구대회 순위 결정전에서 한국도로공사를 세트 스코어 3-0(25-16, 25-20, 25-22)으로 완파했다. 이재영이 19득점, 공격 성공률 40.91%를 기록했다. 돌아온 '여제' 김연경도 17득점(공격성공률 38.71%)를 기록하며 완승을 지원했다. 8월 30일 열린 대회 개막전에서 2019~2020 V-리그 1위 현대건설에 세트 스코어 3-0, 셧아웃 승리를 거뒀다. 조별 리그 두 번째 경기던 31일 IBK기업은행전도 1세트도 내주지 않고 이겼다. 순위 결정전까지 무실 세트 승리. 3경기 연속 완승을 거두며 흥국생명 독주론을 스스로 증명했다. 김연경은 국내 복귀전이던 현대건설전에서 7득점을 기록했다. 공격 점유율도 13.64%에 불과했다. 경기 뒤 온전히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않았다는 말을 남겼다. 그리고 두 번째 경기던 기업은행전에서는 팀 내 최다 득점(18점)에 높은 공격 성공률(52.94%)를 기록했다. 공격 점유율(28.81%)도 가장 높았다. 도로공사전은 이재영(19점)에 이어 팀 내 두 번째로 많은 득점(17점). 가세한 김연경과 기존 공격수 이재영, 루시아의 공존 문제는 흥국생명을 향한 유일한 의구심이었다. 그러나 국가대표팀에서 호흡을 맞춘 경험이 있다. 이적생이자 국가대표 주전 세터인 이다영이 있기 때문에 매끄러운 공격 기회 분배도 가능했다. 무엇보다 김연경과 이재영은 리시브가 좋은 레프트라는 점이 '조직력' 변수를 지웠다. 2일 도로공사전 3세트 후반에서 그 기대 효과가 자주 드러났다. 이재영이 리시브를 받고, 이다영이 세트, 김연경이 마무리한 장면이 두 차례 나왔다. 앞서 14-15, 1점 뒤진 상황에서는 김연경이 리시브를 하고 이다영의 세트를 받은 이재영이 퀵오픈으로 마무리했다. 김연경은 앞선 현대건설, 기업은행전에서 리시브 효율 48.00%를 기록했다. 이재영은 40%. 김연경은 공격수 가운데 유일하게 이 부분 5걸 안에 이름을 올렸다. 이재영은 8위. 정확한 리시브는 자신 또는 다른 공격수에게 기회를 연다. 리시브를 받은 선수 외 2명이 공격을 대기한다. 선택의 폭이 넓어진 세터는 신나게 볼을 배분할 수 있다. 특정 선수 의존도도 당연히 낮아진다. 기업은행전에서는 루시아(30.51%), 김연경(28.81%), 이재영(27.12%)이 고른 공격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정 선수가 컨디션 난조를 보여도 다른 선수가 메운다. 흥국생명은 개인 능력으로 짜임새 있는 조직력을 만들고 있다. 공격 삼각편대 외 전력도 탄탄하다. 센터 김세영이 건재를 증명했다. 2018~2019시즌 신인왕 2위 이주아도 성장세다. 국가대표 리베로 김해란의 은퇴 공백을 메우는 도수빈도 발군의 기량을 보여줬다. V-리그 개막을 앞두고 열린 전초전에서 상대가 파고들 틈을 보이지 않았다. 안희수 기자 An.heesoo@joongang.co.kr 2020.09.03 13: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